감정 분석 기준 커스터마이징

체인지로그

2025. 6. 13.

Share Link
공유하기
deskroom-supports-customizable-sentiment-analysis
deskroom-supports-customizable-sentiment-analysis

데스크룸이 감정 분석 기준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합니다. 고객의 감정을 우리 조직의 맞춰 해석할 수 있도록, 데스크룸 AI를 직접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Why we made this

고객의 말 속 감정은 같은 표현이라도 기업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어떤 기업은 “그냥 그렇고 무난해요”라는 고객 문의를 부정으로, 다른 기업은 긍정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범용적인 감정 분류 기준만으로는 이런 미묘한 뉘앙스를 놓치기 쉽고, 분석 결과가 실제 의사결정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스크룸은 각 조직이 직접 감정의 해석 방식을 설정하고, AI가 이에 맞추어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활용 예시

우리 조직만의 관점으로 고객 감정을 해석하고 싶을 때

  • “환불해줘야겠네요”라는 표현을 일반적으로는 중립으로 볼 수 있지만, 우리 조직에서는 ‘불만 의사 표시’로 해석해야 할 경우, 이를 부정 감정으로 직접 정의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업계 특성상 자주 등장하는 표현의 감정을 정확히 분류하고 싶을 때

  • 앱 리뷰에서 자주 등장하는 “그럭저럭 괜찮다”, “이 가격엔 만족” 같은 표현을 긍정/중립 중 어디로 분류할지 직접 정해, 실제 사용자 감정에 더 가깝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분석 기준] 탭에서 ‘고객 감정 분석 기준’을 선택하면, 우리 조직에 맞는 평가 항목과 세부 기준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불만’, ‘실망’, ‘짜증’, ‘강한 항의’처럼 세분화된 기준을 설정하거나, 각 감정에 포함되는 예시들을 입력하면, 데스크룸의 AI가 이 내용을 기준으로 고객 감정을 분석합니다.

deskroom-lets-users-to-customize-their-sentiment-analysis-properties
Deskroom을 지금 무료로 체험해 보세요
Deskroom을 지금 무료로 체험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