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요즘은 기능도, 디자인도, 가격도 비슷한 제품이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고객은 수많은 제품 중에 하나를 선택하죠. 그럴 때마다 우리는 궁금해집니다.
“이 많은 제품 중, 왜 우리 제품을 골랐을까?”
리뷰를 보면 우리 제품을 선택한 사람들의 후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좋았어요”, “만족해요” 같은 긍정적인 반응을 볼 수 있지만, ‘왜 우리 제품을 골랐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이 질문에 답하려면, 고객이 제품을 고민하고, 비교하고, 선택하는 순간이 담긴 데이터를 봐야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커뮤니티 데이터’ 속에 있습니다.
커뮤니티 데이터에는 고객이
어떤 브랜드를 함께 고민했고,
어떤 이유로 망설였으며,
결국 왜 우리 제품을 선택했는지
그 모든 의사결정의 흐름이 솔직하게 담겨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뮤니티 데이터를 분석해, 경쟁 제품과의 비교 맥락 속에서 우리 제품이 ‘선택된 이유’ 를 파악하고, 이를 전환 중심의 마케팅 전략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커뮤니티 데이터에서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1. 고객의 선택 기준이 드러납니다.
게시글: "A랑 B 중 뭐가 더 괜찮나요?"
ㄴ 댓글1: "둘 다 써봤는데 저는 A가 더 잘 맞아요."
ㄴ 댓글2: "B는 너무 번들거려요."
ㄴ 댓글3: "A는 트러블 났는데 B는 순하더라고요. 그래서 갈아탔어요. 아 저는 건성이에요."
단순한 비교 같지만, 이 안에는 고객의 상황과 선택 기준이 자연스레 녹아 있습니다. 어떤 조건에서 우리 제품이 선택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2. 경쟁사 제품의 아쉬움이 드러납니다.
“XX는 톤업은 좋은데 뭉쳐요…”
“패키지는 예쁜데 메이크업 위에 바르면 밀려요.”
이런 말 속에는, 채워지지 않은 고객의 기대가 담겨 있습니다. 그 아쉬움을 우리가 채워줄 수 있다면, 전환을 이끄는 메시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데이터로 비교 분석하기
데스크룸 고객사의 마케터가 커뮤니티 데이터를 활용해 제품이 선택된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마케팅 전략으로 어떻게 활용하는지 소개합니다. 가상의 브랜드 ‘클레어’의 톤업 선크림 제품을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먼저, 데스크룸의 [검색] 탭에서 커뮤니티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클레어’ 브랜드가 언급된 모든 커뮤니티 게시글과 댓글을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2. 비교할 제품 키워드로 필터링합니다.
브랜드 전체가 아닌, 분석하고자 하는 특정 제품 키워드를 선택합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톤업 선크림’을 키워드로 설정했습니다.

Step 3. 경쟁 제품과 함께 언급된 게시글만 조회합니다.
데스크룸의 [원문 내용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경쟁 브랜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루멘’, ‘누베르’를 입력하면, 클레어와 이들 브랜드가 함께 언급된 게시글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Step 4. 고객이 남긴 ‘선택의 이유’를 직접 확인합니다.
필터링된 게시글 목록에서 원문을 열고, 고객이 경쟁 제품과 우리 제품을 어떻게 비교했는지 살펴봅니다. 게시글과 댓글을 함께 보면, 선택의 이유와 구매로 이어진 맥락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고객이 이런 고민을 공유했습니다:
“저번에 누베르 썼었는데, 너무 촉촉해서 여름에 쓰긴 힘들 것 같아요. 지속력 좋은 톤업 선크림 좀 추천 해주세요.”
이에 대해 다른 고객들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전 클레어 쓰는데 괜찮아요. 저도 촉촉한 거 싫어하는데, 찾다가 발견한 제품이에요.”
“ 저도 클레어 추천해요. 여러 번 발라도 안 뭉쳐요. 누베르, 루멘이랑 다 써봤는데 클레어가 제일 좋아서 정착했어요.”
“ 지속력 중요하면 무조건 클레어요.”
이처럼, 커뮤니티 데이터에는 비슷한 제품을 함께 써본 고객의 솔직한 비교 경험이 담겨 있습니다. 이 사례를 통해 클레어의 톤업 선크림은 ① 뭉치지 않고 ② 지속력이 좋다는 점에서 선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Step 5. 선택의 이유를 전환 메시지로 기획합니다.
고객이 우리 제품을 선택한 이유는, 단순한 만족이 아닙니다. 비슷한 제품 속에서 우리 브랜드가 돋보인 순간이자, 다음 마케팅 전략의 핵심 소구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에서 자주 언급된 문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루멘은 톤업은 되는데 뭉쳐요. 화장 위엔 별로예요. 클레어는 그런 게 없어서 좋아요.”
“누베르는 촉촉하긴 한데 여름엔 좀 번들거려요. 클레어가 가볍고 보송해서 바꾸게 됐어요.”
“요즘 톤업은 다 비슷한데, 클레어는 밀림도 없고 색이 자연스러워서 결국 얘로 정착했어요.”
이런 고객의 언어는 아래와 같이 실전 메시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세페이지 문구: “메이크업 위에도 밀착되는 톤업 선크림”
배너 광고 문구: “뭉치고 번들거리는 톤업은 그만, 매끈하게 밀착되는 클레어”
CRM 메시지: “화장 위에도 가볍게, 직장인 데일리 톤업 추천!”
마무리
이번 포스트에서는 데스크룸을 활용해 고객이 왜 우리 제품을 선택했는지를 파악하고, 그 이유를 전환 유도 메시지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커뮤니티 데이터를 활용하면,
고객의 선택 기준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경쟁 제품과의 비교 속에서 우리만의 강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고객의 언어로 소구하는 메시지를 기획할 수 있습니다.
고객의 선택은 우연이 아닙니다. 이유가 있는 선택은, 다음 선택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강력한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게시글을 하나하나 읽기 어려운 마케터를 위해, 데스크룸은 커뮤니티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해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객의 니즈를 빠르게 찾아드립니다.
선택의 이유를, 전환의 메시지로 바꿔보세요.